본문 바로가기
돈 관리 어떻게 할까?/종합소득세 & 부가세 신고

부가세 신고 기간과 일정은? – 1년에 몇 번 언제 신고해야 하나요?

by 데일리라프 2025. 5. 28.
반응형

 

 

부가세 신고 기간과 일정은? – 1년에 몇 번 언제 신고해야 하나요?

부가세 신고 기간과 일정은? – 1년에 몇 번 언제 신고해야 하나요?

"부가세 신고 언제 해야 하지?"
처음 사업을 시작하면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 바로 신고 시기입니다.
이번에는 부가세 신고 기간과 일정을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!

부가세 신고는 1년에 두 번!

부가세는 1년에 2번 신고합니다.
보통 상반기 한 번, 하반기 한 번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.

구분 신고기간 신고하는 내용

1기 확정 신고 7월 1일 ~ 7월 25일 1월 ~ 6월까지 벌어들인 매출과 부가세
2기 확정 신고 다음 해 1월 1일 ~ 1월 25일 7월 ~ 12월까지 벌어들인 매출과 부가세

✔️ 신고 기간은 항상 25일까지입니다. (25일이 토요일/공휴일이면 그 다음 평일까지)

중간에 '예정 신고'도 있을 수 있어요!

일반과세자는 확정 신고 외에도 중간에 예정 신고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요.
(단, 간이과세자는 예정 신고를 하지 않습니다.)

구분 신고기간 신고하는 내용
1기 예정 신고 4월 1일 ~ 4월 25일 1월 ~ 3월 실적 신고
2기 예정 신고 10월 1일 ~ 10월 25일 7월 ~ 9월 실적 신고

 

👉 중요한 포인트

  • 예정 신고 때 세금을 일부 먼저 납부하고,
  • 확정 신고 때 6개월 전체 정산을 합니다.

예정 신고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로 진행돼요.

  • 직접 신고: 실제 매출과 매입자료를 입력해 신고
  • 고지 납부: 국세청이 보내준 금액(직전 신고세액의 50%)을 납부

직접 신고할지, 고지서를 보고 낼지는 상황에 따라 선택 가능합니다!

연 매출 8천만 원 이하인 간이과세자는?

간이과세자는 부가세를 1년에 한 번만 신고하면 됩니다.

신고기간 신고하는 내용
1월 1일 ~ 1월 25일 전년도 1년치 매출에 대한 부가세 신고

✔️ 간이과세자는 별도의 예정 신고(4월, 10월) 없이
1월에 한 번만 신고하면 되기 때문에, 부담이 훨씬 적습니다.

 

만약 기간을 놓치면?

부가세 신고 기간을 넘기면 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있어요.

  • 무신고 가산세 20% 부과
  • 납부 지연 가산세 추가 발생
  • 세무조사 가능성도 높아짐

✔️ 꼭 알림 캘린더에 "부가세 신고 기간"을 표시해두는 걸 추천드립니다!

요약

구분 기간 대상
1기 예정 신고 4월 1일 ~ 4월 25일 일반과세자
1기 확정 신고 7월 1일 ~ 7월 25일 모든 사업자
2기 예정 신고 10월 1일 ~ 10월 25일 일반과세자
2기 확정 신고 다음 해 1월 1일 ~ 1월 25일 모든 사업자
간이과세자 신고 1월 1일 ~ 1월 25일 연 매출 8,000만 원 이하 간이과세자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