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돈 관리 어떻게 할까?/종합소득세 & 부가세 신고

부가세 신고 대상자 – 누가 신고해야 하나요? (일반과세자 vs 간이과세자)

by 데일리라프 2025. 6. 1.
반응형

 

부가세 신고 대상자 – 누가 신고해야 하나요? (일반과세자 vs 간이과세자)

부가세 신고 대상자 – 누가 신고해야 하나요? (일반과세자 vs 간이과세자)

부가세는 사업자라면 누구나 관련이 있을 것 같지만, 사실 신고해야 하는 대상과 신고 방법은 사업자의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.

이번에는 일반과세자, 간이과세자 차이와 누가 부가세를 신고해야 하는지 정리해볼게요!

부가세 신고 대상자 기본 개념

  1. 사업자 등록을 한 사람은 원칙적으로 부가세 신고 대상입니다.
  2. 하지만 매출 규모, 사업 종류에 따라
    • 일반과세자
    • 간이과세자
    • 면세사업자
      이렇게 구분되고, 신고 의무도 조금씩 달라집니다.

일반과세자

일반과세자란?

  • 연 매출이 8천만 원 초과하는 사업자
  • 또는 특별한 이유로 간이과세 적용을 받지 않는 경우

특징

  • 모든 매출에 10% 부가세 부과.
  • 부가세 신고를 1년에 2번 (1월, 7월) 해야 함.
  • 매출 부가세 - 매입 부가세 = 납부하거나 환급

신고 기간

  • 1기 확정 : 7월 1일 ~ 7월 25일 (1~6월분 신고)
  • 2기 확정 : 1월 1일 ~ 1월 25일 (7~12월분 신고)

중간에 예정신고도 있을 수 있어요.
(4월, 10월 예정신고는 '간편 신고'처럼 매출이 많을 경우 추가 신고)

대표 예시

  • 일반 쇼핑몰, 음식점, 카페, 미용실 등

 

간이과세자

간이과세자란?

  • 연 매출이 8천만 원 이하인 개인사업자

특징

  • 부가세를 간편하게 계산 (매출에 업종별 부가율만 곱해서)
  • 세금 부담이 일반과세자보다 적음
  • 부가세 신고는 1년에 1번만! (1월)

업종별 부가율 예시

  • 도소매업 : 0.5
  • 음식점업 : 0.4
  • 제조업, 서비스업 : 0.3

대표 예시

  • 작은 카페, 동네 미용실, 소규모 온라인 판매

주의할 점

  • 간이과세자는 매입세액 공제가 제한되기 때문에
    부가세 환급을 기대하긴 어렵습니다.
  • 간이과세자라도 연매출이 4,800만 원을 넘으면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가 있어요.

 

면세사업자는 부가세 신고 안 하나요?

네, 면세사업자는 부가세 자체가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
부가세 신고 의무가 없습니다.

다만 매년 2월에 "사업장 현황신고"는 꼭 해야 합니다.

면세사업자 예시

  • 병원, 학교, 금융기관, 농산물 판매업자 등

정리

구분 기준 신고 횟수 특징
일반과세자 연매출 8천만 원 초과 1년에 2회 (1월, 7월) 부가세 10% 부과, 매입세액 공제 가능
간이과세자 연매출 8천만 원 이하 1년에 1회 (1월) 업종별 부가율 적용, 세금부담 적음
면세사업자 면세 대상 업종 없음 (현황신고만) 부가세 자체 부과 안 함

결론

  • 사업자 등록을 했으면 본인이 일반과세자인지 간이과세자인지 꼭 확인하세요.
  • 연 매출 기준(8천만 원)을 기준으로 신고 주기와 세금 부담이 달라집니다.
  • 면세사업자는 부가세 신고 대신 '사업장 현황 신고'를 준비해야 해요.

반응형